돌이켜보면, 여성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가정을 업으로 선택하지 않게 된 것은 채 50년도 지나지 않았다. 고등교육을 받고, 가정 바깥의 미래를 기대받는 일이 제법 근래에 와서야 여성 일반의 경험이 된 까닭이다. 시대적 변천 속에서 겨우 고등교육을 허락받았던 여성의 어머니는 죽는 날까지 가부장에의 종속을 순리로 여겼지만, 그 여성의 딸은 이제 자기만의 방을 가지고 태어난다. 그러나 그 딸이 권리로 여겼던 일말의 자유는 그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기로에서 사랑을 택할 때 산산이 흩어져 사라진다. 입때껏 흘러간 유행으로 치부해 온 가부장제는 가정 안에서 다시금 공고해지며 일방적 순리를 종용한다. 모두의 안식처여야 하는 집이 가부장제의 규율이 샤리아법처럼 작용하는 전근대의 영역으로 변모하는 순간, 사랑과 안정이라는 가정의 당의는 빛을 잃는다.
구조의 부조리를 직시하는 현자에겐 마녀라는 별칭이 따르곤 했다. 가부장제의 입맛에 맞지 않는 여자를 마녀로 몰아세우는 것은 이 세계의 유구한 사냥법이다. 그들은 각자의 진실을 말하는 이들을 한데 묶어 페미니스트라는 태그를 달아 분류하려 든다. 어드메에선 그것이 아직 세련된 낙인으로 기능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이 이 사회에서 겪어 온 공통의 감각은 개개의 별난 특성이나 문화가 아닌 일반론이며 이 감각이 보편의 문제의식으로 범위를 넓힐 때 가부장제의 구분 짓기는 그 효력을 다할 것이다.
‘발푸르기스의 밤'은 중부 유럽과 북유럽에서 전해내려오는 4월 30일에서 5월 1일 사이의 민속축제로, 1년에 한 번 모든 마녀들이 가장 높은 산인 브로켄 산에 모여 연회를 여는 밤을 일컫는다. 콜렉티브 사일런트메가폰은 여기 광화문에 한국의 마녀들을 위한 모닥불을 피웠다. 본 전시는 39년생 1세대 여성주의 예술가 윤석남의 폭로와도 같은 90년대 作에서 비롯되어 단성생식을 꾀하는 98년생 4세대 여성주의 예술가 작살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아 온 예술가들이 전 세대에 걸쳐 여성의 생애주기 속 다양한 양태를 가시화한 작품들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계보를 조명하고, 1세대와 4세대 사이 아티스트 공통의 문제의식에 의해 변화한 사회상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Less than half a century ago, most women were forced into homemaking as their sole means of livelihood. Only recently has higher education and the prospect of a future outside the home become a common experience for women. While a woman’s mother, who was hardly allowed some schooling, took subordination to the patriarchal norms as her fate, her daughter was born into a world with a room of her own. The perceived freedom the daughter took for granted, however, is shattered as soon as she chooses “to love” a man at the unrecognizable yet fatal crossroads. The patriarchal system she may have dismissed as a relic of the past suddenly rears its ugly head in her own home, coercing her into lifelong one-sided service. Instead of being a haven for all, the home to her is a place of Sharia-like oppressive discipline and disillusionment with the sugar-coated belief that love and stability should climax in marriage.
Sages brave enough to question the absurdity of society were once called witches. The hunt has gone on as long as we remember, though under different names, forever targeting women who are unpalatable to patriarchal tastes. The newer label attached to any women who speak the truth from their experiences is a “feminist” as if it is a fashion item to go out of style soon or a blameworthy disgrace applied only to certain women. Nevertheless, the common “senses” women have attained in this society extend beyond a particular group or a culture and have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 shared political awareness that can break through the divide-and-conquer strategy of patriarchy.
Walpurgis Night, a folk festival between April 30th and May 1st in Central Europe and Northern Europe, was believed to be the night when all witches gather and party once a year on the highest mountain, Mount Brocken. The artist collective Silent Megaphone has built a bonfire here in Gwanghwamun, Seoul, for all the witches in Korea. The exhibition brings together all generations of Korean women artists, from the truth-revealing works in the 1990s of the pioneering feminist artist Yoon Seok-nam, born in 1939, to the daring focus on the parthenogenesis of fourth-generation feminist Jaksal, born in 1998. Collectively, the collage allows for visibility of the different life paths women take in full life cycles. We hope to shed light on the genealogy of Korean feminist art and achieve proper recognition of the social changes these artists mediated through their critical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