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소개
About Artists
윤석남(b.1939-)
Yun Suknam (b. 1939-)
윤석남은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주의 예술가이다. 40대의 나이에 미술계에 입문한 그는 1985년 김인순, 김진숙과 ‘시월모임’을 결성하여 1986년 제 2회 그룹전 《반에서 하나로》(1986)를 개최하였고, 이후 ‘여성미술연구회’ 회원으로 《여성과 현실》전에 참여하는 등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주요한 순간을 이끌어왔다. 그의 작품세계는 ‘어머니’에서 시작되어 자화상, 근현대 여성들의 초상과 소외된 생명에 대한 생태적 관심으로 확장되었다.
Yun Suknam, one of the most prominent feminist artists from South Korea, entered the art world in her 40s. She spearheaded key moments in the Korean feminist art movement, such as forming the Siwol Gathering with Kim In-sun and Kim Jin-suk in 1985 and covering women’s issues in the group’s second exhibition From Half to Whole (1986). Later, she participated in the historic Women and Reality exhibitions as a member of the Women’s Art Research Association. Yun’s lifelong oeuvre stems from her early masterpiece series Mother and expanded to include portraits of herself and other women of her time, as well as later works on the theme of ecology.
송상희(b.1970-)
Song Sanghee (b.1970-)
송상희(b.1970-)송상희는 서울에서 태어나 암스테르담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영상, 드로잉, 퍼포먼스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사회와 역사 속에서 소외된 이들을 조명하는 서사를 만들어가는 작가이다. <아들을 잃은 피에타>는 그의 초기작 중 하나로, 2000년대에 그는 한국의 중산층이자 비장애인 여성으로서 같은 계층의 여성들이 가부장제 아래서 보이는 경향과 행동양식, 가치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짐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 시스템을 재검증하는 데 집중하였다.
Song Sanghee is a Seoul-born, Amsterdam-based artist. Through various mediums such as video, drawing, and performance, she creates narratives that shed light on those who have been marginalized by society throughout history. As a middle-class, non-disabled Korean woman, she has posed a radical challenge to the norms, behaviors, and value systems that women of her class have typically adhered to under patriarchal dominance. Her confrontational approach, evident in one of her earlier works in the 2000s, Pietà of Losing a Son, seeks to reassess aspects of our social system that often go unnoticed.
김민형(b.1983-)
Kim Minhyung (b.1983-)
김민형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며 느끼게 되는 욕망과 자본이 만들어내는 욕망, 개인의 콤플렉스를 자극하며 소비심리를 조종하는 쇼핑의 매커니즘에 주목한다. 그의 작업 주제는 주로 본인이 체감한 신체적 콤플렉스에서 온 것으로 하이힐 프로젝트, 네일케어 프로젝트로 구현되었다. 소비대상인 오브제에 대한 그의 시선은 점차 소비의 과정에서 실제로 벌어지는 인간적인 소통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었다.
Kim Minhyung examines people’s desires, particularly those of women, and how they are stimulated by capitalist society. In doing so, she identifies the mechanisms of shopping, which exploit personal insecurities to encourage more consumption. Her primary focus arises from her own body dissatisfaction, embodied in her High Heel series and Nail Care series. Her interest in the objects of consumption has gradually broadened from the consumption process to encompass the human interaction that takes place in it.
박영선(b.1977-)
Park Youngsun (b.1977-)
박영선은 친근한 캐릭터를 통해 일상에서 느끼는 불안과 두려움을 이미지화하고 ‘집’이라는 공간에 초점을 맞춰 한국의 가부장적 집단가족주의 안에서 그가 느낀 불안과 고독을 드러낸다. 이는 오랜 기간 가정에 전념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했던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Park Youngsun visualizes anxieties and fears experienced in our daily lives through familiar characters. Her particular interest in the domain of “home” exposes the insecurities and feeling of alienation that she felt within the patriarchal and collectivist familism. This is heavily influenced by her personal experience of having to stop her creative work for a long time to focus on her family.
박희자(b.1982-)
Bahc Heeza (b.1982-)
박희자는 한국과 독일에서 활동하며 사진을 베이스로 현시대에 사진매체가 어떻게 기능하는지 탐구하고 ‘바라보기’를 통해 예술과 창작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The Women of Island>시리즈는
박희자의 초기작으로, 서른 즈음의 여성들이 겪는 삶에 대한 정체감으로부터 파생되는 감각적 충돌을
포착하였다.
Bahc Heeza, an artist based in South Korea and Germany, studies how the medium of photography functions in the contemporary world and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art and creativity through her “gaze”. The Women of Island series, one of her earlier works, captures the conflicting senses women in their thirties experience in their seemingly stagnant lives.
정이지(b.1994-)
Jung Yiji (b.1994-)
정이지는 주변인과의 평범한 일상을 경험하며 마음속에 강하게 떠오르는 인상을 채집해 캔버스 위 이미지로 옮기는 작업을 한다. 명료하고
선명한 필치에서 오는 시각적 명쾌함은 내밀하고 개인적이며 알 수 없는 그 순간의 맥락과 충돌하며 묘한 잔상을 남긴다.
Jung Yiji's work involves collecting strong impressions from ordinary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and transferring them into images on canvas. The visual clarity that comes from a clear and crisp brushstroke collides with the intimate, personal, and obscure context of the moment, leaving a beguiling afterimage.
박영숙(b.1941-)
Park Youngsook (b.1941-)
박영숙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배제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여성성을 도발적으로 부각시킨 초상사진을 주로 촬영한 한국의 1세대 여성 사진작가이다. 《우리 봇물을 트자: 여성 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1988)에 참여하고, ‘여성미술연구회’에서 활동하며 한국 현대 사진사와 페미니즘 미술 운동에 주요한 역할을 해 왔다. 2006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 최초의 사진 전문 갤러리인 트렁크갤러리를
운영했다.
Park Youngsook is a first-generation female photographer in South Korea, whose provocative portraits of women confront the patriarchal rejection of certain aspects of womanness. She has played a historic role in modern photography and the feminist art movement in South Korea, through her participation in Let Us Open the Water: Women's Liberation Poetry and Painting (1988) and her work with the Women's Art Research Association. She directed Trunk Gallery, Korea's first gallery specializing in photography, from 2006 to 2019.
춘희(b.1993-)
Chunhee (b.1993-)
춘희는 문화 속 도상에서 자연스럽게 기본값으로 인식되는 남성의
모습을 여성으로 치환하는 작업을 한다. 탱화의 형식으로 그린 토속신
마고할미와 극락의 여성들, 다양한 인종과 체형의 여성들로 채워진 일본소년만화 스타일의 애니메이션, 여성 12지신과 타로카드의 도상 등
그의 작업은 남성중심적 이미지를 전복하는 새로운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Chunhee's artwork challenges the cultural norm of using male figures as the default in iconography by replacing them with female figures. Whether it is Korean goddess Mago and Women’s Paradise painted in the form of Buddist Taenghwa, Japanese Shonen-style animations featuring women of various races and body types, or iconography of the twelve female zodiac animal guardians and women-centered tarot cards, her work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subverting androcentric images.
사일런트메가폰(2017-)
Silent Megaphone (2017-)
사일런트메가폰은 개개인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이상적인 사회를
그리는 아티스트들이 모인 콜렉티브이다. 2017년부터 매년 기획전시를 개최하며 여성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연대의식을 고취한다.
Silent Megaphone is an artist collective that strives for an ideal society that upholds the dignity of each individual. Since our inception in 2017, our annual exhibitions have served as a guiding light for the feminist movement, inspiring a sense of solidarity among women.
박상은(b.1988-)
Park Sang-eun (b.1988)
박상은은 자신이 가진 알러지의 일종인 피부묘기증(Dermatographism)을 매개로 여성, 성소수자 등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고립된 사람들의 상처를시각화시킨 영상과 사진 작업을 주로 한다. 결혼 후 이어진 임신, 출산, 육아로 인해 작가 생활을 중단하게 되면서 가부장적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여성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발견하였고, 여성으로서 체감한 관습적인강제성에 집중한 작업을 발표하였다.
Park Sang-eun incorporates her condition of dermatographism, where irritated parts of the skin raise, as a major medium in her works. Her photography and video art center around visualizing the wounds of socially marginalized and isolated groups such as women and sexual minorities. After putting her artistic career on hold due to marriage and subsequent motherhood, Park rediscovered her identity as a woman living in a patriarchal Korean society. This experience compelled her to concentrate on the oppressive customs that women endure.
정윤선(b.1976)
Jung Yunsun (b.1976-)
정윤선은 밀도 깊은 리서치를 기반으로 설치, 퍼포먼스, 아카이빙,커뮤니티 아트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작업을 한다. 지역과 인간,공동체의 관계와 맥락에 대해 깊은 관심이 있으며 현실의 문제를 자신의 몸을 통해 명료하게 드러내는 과정을 거치며 인간 실존에 관해 탐구한다. 국내외 다수의 레지던스에 머물며 지역 기반 작업을 진행하였다.
Jung Yunsun bases her work on extensive research, employing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installation, performance, archiving, and community art. Deeply interested in the contexts in which we interact and engage with local areas and communities, she delves into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by crystallizing real-world issues through her own body. She has created several community-based works while staying at various residencies both in South Korea and abroad.
노승복(b.1969-)
Roh Seungbok (b.1969-)
노승복은 사진, 영상, 뉴미디어를 통해 죽음과 폭력 등 자신이 살아가며 마주하는 문제들을 주제로 작업한다. 구조적이고 분석적인 그의 시선은 차가울 정도로 현상을 그대로 드러내면서도 그저 있는 그대로 관조한다. <1366 프로젝트>는 그가 1366 여성의 전화 자원봉사를 하며 접한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증거 자료용 사진을 의도적으로 확대하고
추상화하여 사회적으로 은닉되는 폭력을 함의하였다.
Roh Seungbok explores disturbingly ordinary issues, such as death and violence, through photography, video, and new media. Her structured and analytical approach chillingly reveals reality as it is while maintaining a sense of detachment. The 1366 Project, for instance, involves enlarging and abstracting evidentiary photos of battered women she met while volunteering for the 1366 Women’s Emergency Hot-Line with the intention to bring socially concealed acts of violence into light.
여지(b.1985-)
Yeo Ji (b.1985-)
여지는 사회의 미적 기준에 맞춰 스스로를 재단하고 성형하는 여성들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기록한다. 성형수술 직후 환자의 모습을 담은 <Beauty Recovery Room>, 성형외과 병원 내부의 모습을 담은 <It Will Hurt A Little>, 모델 지망생들의 포트레이트를 기록한 <Casting Call> 시리즈를 통해 한국의 미용 성형 산업의 이면을 드러내고 한국인의 미에 대한 열망을 기록하였다. 한국에서 태어나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Yeo Ji documents women who cut up and mutilate their bodies in the name of cosmetic surgeries to meet society’s aesthetic standards. In her various works, she reveals the dark underbelly of the Korean cosmetic surgery industry and examines the pressure on Korean women to conform. Beauty Recovery Room, for instance, follows patients immediately after their surgeries, while It Will Hurt A Little explores the inner workings of a plastic surgery clinic and Casting Call features portraits of aspiring models. She was born in South Korea and is now a New York-based artist.
구지언(b.1990-)
Koo Jiun (b.1990-)
구지언은 성과 젠더에 관심을 가지고 주로 회화와 설치작업을 통해 퀴어한 도상을 실험한다. 그의 작업에서 사회적 성별이자 수행성을 지닌 젠더는 더 나은 사회적응을 위한 일종의 위장에서 자연스러운 진화의 개념으로 연결되며 이는 새로운 시대의 ‘혼종’ 인간상으로 나타난다. 중성신(中性神) 시리즈는 한국의 토착 샤머니즘의 제의도구 ‘무신도(巫神圖)’가 가지는 형식과 의미를 차용하며, 무성생식(無性生殖) 혹은 단성생식(單性生殖)의 사례가 보고 되었던 동식물 종의 도상을 신의 형상과 함께 배치하고 있다.
Koo Jiun expresses her interest in sex and gender mainly through painting and installation, experimenting with non-conforming iconography. In her works, gender as both social and performative begins as a kind of camouflage for better social adaptation and then naturally evolves to produce a “hybrid” human figure of the new age. Her Androgynous God series borrows the form and meaning of Mushindo, a Korean shamanic ritual tool, juxtaposing images of deities alongside iconography of asexually or unisexually reproducing animal and plant species.
최문선(b.1996-)
Choi Moonsun (b.1996-)
최문선은 유년기부터 디지털에 익숙한 최초의 세대인 Z세대의 일원으로서 온라인 소셜미디어 속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주목한다. 자신이 살아가며 목격하는 사회문제를 가볍고 휘발적인 인터넷 문화의 언어로 풀어낸 디지털 드로잉과 설치작업을 주로 한다.
Choi Moonsun, a digital-native tech-savvy Gen Z artist, explores the complex dynamic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e realm of social media. Through her digital drawings and installations, she addresses contemporary social issues in a language that reflects the fluid and ephemeral nature of internet culture.
데비 한(b.1969-)
Debbie Han (b.1969-)
데비 한은 동서양의 미(美) 이데올로기와 미디어 속 여성 이미지를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시각예술가이다. 초등학교 때 미국 이민을 떠나 코리안아메리칸으로 살아가다 2003년, 30대에 국내 레지던시에 초대받아 귀국하여 2011년까지 한국에 머물며 활동하였다. 서구의 미의 개념을 상징하는 그리스 비너스의 두상에 동양 여성의 신체를 합성한 섬세한 아날로그적 디지털 작업을 통해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이상화된 여성 이미지에 조소를 던지며 깊은 통찰을 선사한다.
Debbie Han is a visual artist who deconstructs and reassembles beauty ideologies and representations of women in the media in both Western and Eastern cultures. Having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as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she returned to South Korea in 2003 in her thirties to participate in a residency program and remained there until 2011. Her delicate analog-looking digital work incorporates realistic bodies of Asian women to the head of the Greek goddess Venus, an iconic symbol of Western beauty, mocking the oppressive idealized images of women and offering deep insights.
작살(b.1998-)
gig (b.1998-)
작살은 초현실적이고 사색적인 시각효과를 만들어내는 방식에 관심을 두고 있다. <해파리 인간>은 디지털 이미지와 영상을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쉽게 대상화되는 여성의 생식을 동화적이고 유희적인 서사를 통해 비틀며 이는 육체로부터의 해방의 개념을 발현시킨다.
gig is intrigued by different methods of creating surreal and contemplative visuals. In her artwork Jellyfish Human, she employs digital imagery and video to twist the process of female reproduction, which is too easily objectified, into a whimsical fairytale-like narrative. It invites the viewer to imagine a liberated state from the constraints of their physical bodies.
번역: 유혜담